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3-way handshake
- 함수형
- 선언형
- redis
- 지연시간
- 프로젝트 계확
- 스레싱
- MVVM
- modebit
- 링크계층
- 4-way handshake
- 요구사항 분석
- 다크모드
- 다단계 큐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M/M
- nosql
- 메모리
- CPU 스케줄링
- 프록시패턴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처리량
- PERT/CPM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럼바우
- 인터넷계층
- MongoDB
- 개발 모델
- 절차형
- 노출모듈패턴
- Today
- Total
노트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9 본문
강의 내용 중 CSS를 통한 이미지를 넣을 때 div에 background로 링크를 추가하고 거기서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보고 꽤 괜찮은 방법이라고 느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미지는 프로필 사진, 배경사진, 버튼의 아이콘 등으로 요소의 구조안에 이미지를 사용할테니 단독으로 이미지만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HTML의 img태그를 사용하는 것보다 직관적인 방법인 것 같다.
그리고 오늘 멘토님과 커피챗에서 내가 작성한 사전 질문들이 좀 딱딱한 것 같아서 걱정하고 있었는데 편히 말할 수 있게 무겁지 않은 분위기로 이끌어 주셔서 감사했다.
오늘 커피챗을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인 것 같다.
1.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중요한 능력!
개발자는 팀원뿐만 아니라 타 팀과 협업도 많이 하고 사용자와도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거의 모든 사람과 소통한다고 생각. 그렇기에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함.
재택근무에 대해서는 재택근무자와 소통해 본 경험이 없는 팀원이 많으면 힘들 수 있으나, 요즘 git 같은 형상관리 툴이 잘 되어있어서 협업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는 건 없음.
2. 합류할 팀에 규모
개발자가 많더라도 본인과 직접적으로 일하는 팀원이 몇 명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좋음. 최소 3명 이상, 2명이면 의견 차를 좁히기가 쉽지 않다고 하셨다. 그리고 규모가 작으면 일이 많아질 수 있음,,,,,
+ 시니어 개발자가 있으면 많이 도움 됨.
추가로 블로그를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하셨다. 블로그를 만들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공부가 많이 되고 직접 만든 블로그에 프로젝트나 이력서를 넣는 것도 좋음.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1 (0) | 2024.04.29 |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0 (2) | 2024.04.26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8 (0) | 2024.04.24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7 (0) | 2024.04.23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6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