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odebit
- 다크모드
- 지연시간
- 노출모듈패턴
- 선언형
- nosql
- M/M
- redis
- 절차형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처리량
- MVVM
- 다단계 큐
- 메모리
- 인터넷계층
- 4-way handshake
- MongoDB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링크계층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개발 모델
- 함수형
- 요구사항 분석
- 프록시패턴
- 3-way handshake
- CPU 스케줄링
- 프로젝트 계확
- PERT/CPM
- 럼바우
- 스레싱
- Today
- Total
목록정보처리기사 정리 (14)
노트
1. 운영체제의 특징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소프트웨어메모리 관리 기법반입 기법: 메모리 적재 시기(When)배치 기법: 메모리 적재 위치(Where)할당 기법: 메모리 적재 방법(How)교체 기법: 메모리 교체 대상(Who)메모리 배치 기법최초 적합(First-fit):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용 공간 중, 첫 번째 분할에 할당최적 적합(Best-fit):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크기가 비슷한 공간을 선택해 프로세스 적재최악 적합(Worst-fit): 프로세스의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에 할당페이지 교체 알고리즘LRU(Least Recently Used): 최근..
1. SW 개발 보안 설계SW 개발 보안 3대 요소기밀성(Confidentiality):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 허용무결성(Integrity): 시스템 내의 정보는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가용성(Abailability): 인가받은 사용자는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을 언제든 사용 가능Dos(Denial of Service) 공격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서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Dos 공격의 종류SYN 플러딩(Flooding): 서버의 동시 가용 사용자수를 SYN 패킷만 보내 점유하여 다른 사용자가 서버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공격UDP 플러딩: 대량의 UDP 패킷을 만들어 임의의 포트 번호로 전송..
1.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설계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련의 행위 또는 절차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원리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함을 밝히는 것: 결함을 줄일 순 있지만, 결합이 없다고 증명할 수 없음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 무한 경로, 무한 입력 값으로 인한 어려움개발 초기에 테스팅 시작: 테스팅 기간 단축, 재작업 감소로 개발기간 단축 및 결함 예방[결함의 집중]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결함의 80%가 발견된다는 법칙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새로운 버그를 찾지 못함정황 의존성: 소프트웨어 성격에 맞게 테스트 실시오류-부재의 궤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
UX/UIUX(User Experience): 사용자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UI(User Interface):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CLI(Command Line Interface), GUI(Graphical User Interface)NUI(Natural User Interface):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기기 조작UI의 기본 원칙직관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유효성: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학습성: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힘유연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UI 설계 도구와이어 프레임: 페이지에 대한 대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모듈 세부 설계서컴포넌트 명세서: 컴포넌트 개요, 내부 클래스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명세 등을 정의인터페이스 명세서: 컴포넌트 명세서에 명시된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세부적인 조건 및 기능을 명시한 명세서미들웨어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미들웨어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에 일관성을 보장RPC(Remote Procedure Call, 원격 프로저 호출): 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원격 프로시저를 마치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하는 미들웨어MOM(Message Oriented Middleware,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메시지 기반의 비동기형 ..
1. 개발환경 구축개발 도구 분류빌드 도구: 작성한 코드의 빌드 및 배포(Ant, Maven, Gradle)구현 도구: 코드의 작성과 디버깅, 수정(Eclipse, InteliJ, VS)테스트 도구: 코드의 기능 검증, 전체적인 품질 향상(xUnit, PMD, Sonar)형상 관리 도구: 산출물에 대한 버전 관리(Git, SVN, CVS)서버 하드웨어 개발환경웹 서버: HTTP를 이용한 요청, 응답 처리(Apache 웹 서버, Google 웹 서버)웹 애플리케이션(WAS): 동적 컨텐츠를 처리하고 제공(Tomcat, Jeus, Resin)DB 서버: 데이터 수집, 저장(MySql, Oracle, MS-SQL)파일 서버: 파일 저장 하드웨어, 물리 저장 장치를 활용한 서버(HDD, ..

연계 메커니즘응용 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 간의 데이터 연계 시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계방법과 주기를 설계주요 연계 기술직접 연계: 중간 매개체 없이 송수신 시스템이 직접 연계하는 방식DB 링크: DB에서 제공하는 DB링크 객체를 이용DB 연결: 수신 시스템의 WAS에서 송신 시스템 DB로 연결하는 DB 커넥션 풀을 생성, 연계 프로그램에서 해당 DB 커넥션 풀 명을 이용하여 연결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face): 송신 시스템의 DB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제공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에서 DB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API, 수신 시스템의 프로그램에서 JDBC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송신 시스템 DB와 연결하이퍼 링크:..

7.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튜플(Tuple) or 레코드(Recode); 행(Row), 카디널리티(Cardinality) = 튜플의 수속성(Attribute) or 필드(Field): 열(Column), 차수(Degree) = 속성의 수도메인(Domain):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관계 대수 - 절차적: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한 처리 과정을 명시SELECT: 선택 - σ (테이블) ->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 집합PROJECT: 추출 - π (테이블) -> 리스트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JOIN: 연관된 튜플 결합 - R ⋈ S ->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침DIVISIN: 관련있는 튜플 반환 - R ÷ S -> R에서 S 조건에 맞는 것만 분리∪(Un..
1. 데이터 베이스 개념데이터베이스 정의공유 데이터: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저장 데이터: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통합 데이터: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중복이 초소화된 데이터의 모임운영 데이터: 조직의 목적을 위해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데이터 언어정의어 DDL(Definition): DB의 구축과 변경 목적으로 사용, 데이터 형식, 구조, 제약조건 명시조작어 DML(Manipulation): 검색,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을 포함한 집합제어어 DCL(Control): 데이터 무경성(Integrity), 보안(Security), 권한(Authority) 검사,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3계층 스키..
1. 소프트웨어 설계 !) 개념 요구사항 명세서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설계서를 작성하는 단계 (SW Architechture) 물리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단계 (System Architechture) 2) 종류 상위 설계 아키텍처 설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 설계 데이터 설계: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 DB 설계 인터페이스 정의: 시스템의 구조와 서브 시스템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익숙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인터페이스 설계 하위 설계 모듈 설계: 각 모듈의 실제적인 내부를 알고리즘 형태로 표현 자료구조 설계: 자료구조, 변수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 알고리즘 설계: 업무의 처리 절차 등 3) 설계 원리 분할과 정복(Divide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