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노출모듈패턴
- 4-way handshake
- 요구사항 분석
- 다크모드
- PERT/CPM
- 프로젝트 계확
- 함수형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메모리
- 스레싱
- redis
- CPU 스케줄링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M/M
- 링크계층
- 절차형
- 지연시간
- 인터넷계층
- MVVM
- 프록시패턴
- modebit
- 선언형
- 3-way handshake
- nosql
- 다단계 큐
- 개발 모델
- 처리량
- MongoDB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럼바우
Archives
- Today
- Total
노트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6 본문
Node.js로 웹 서버 구현
JavaScript와 Node.js
JavaScript는 이름처럼 독립적인 언어가 아닌 스크립트 언어이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안에서만 동작한다.
웹 브라우저가 없으면 사용하기 어렵고, 웹에서 표시되는 부분은 JavaScript로 만들고 서버는 다른 언어로 구현해야 했는데 Node.js를 설치하면 브라우저 없이 터미널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서버도 구현할 수 있다.
즉, Node.js는 JavaScript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독립시키면서 백엔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Node.js 실습을 하던 중 서버를 실행했는데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8888
포트 8888을 이미 사용 중이라는 에러가 출력됐다.
해결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방법 1 포트 번호의 PID를 확인한 후 해당 포트를 강제 종료
방법 2 다른 포트로 서버 실행
방법 1은 Windows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netstat -ano 이 명령어로 중복된 포트의 PID 번호를 확인하고
taskkill /f /pid [PID번호] 해당 포트를 강제로 종료
하지만 중복된 포트 번호가 없음에도 오류가 해결되지 않아 그냥 다른 포트번호를 사용했다,,,
+ Windows 환경에선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Hyper-V 부분을 끄면 된다는데
그래도 해결이 안됨 :( 나중에 원인을 알아내서 해결하기로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8 (0) | 2024.04.24 |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7 (0) | 2024.04.23 |
[클라우딩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TIL] - DAY 5 (2) | 2024.04.19 |
[클라우딩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TIL] - DAY 4 (0) | 2024.04.18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3 (0)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