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다크모드
- MVVM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선언형
- redis
- CPU 스케줄링
- 럼바우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절차형
- nosql
- MongoDB
- 프로젝트 계확
- 처리량
- 다단계 큐
- 3-way handshake
- 함수형
- 스레싱
- 메모리
- 4-way handshake
- M/M
- 노출모듈패턴
- 링크계층
- modebit
- PERT/CPM
- 개발 모델
- 요구사항 분석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인터넷계층
- 프록시패턴
- 지연시간
Archives
- Today
- Total
노트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2 본문
ORM(Object-Relational Mapper)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의 테이블과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클래스 사이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는 것
ORM을 이용하면 SQL 문장이 아닌 클래스의 메서드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접근, 조작가능
ex) USER라는 테이블에 매핑된 클래스의 객체가 user 일 때,
USER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
SQL: SELECT * FROM USER
-> user.findAll()
장점
- 반복적이고 복잡한 쿼리를 대신 직관적인 코드로 데이터 조작이 가능해 코드 가독성 증가
-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가능성, 리팩토링 용이성 향상
- 대부분의 ORM이 특정 DB에 종속적이지 않아 DBMS 교체 작업도 어렵지 않음.
단점
- 객체와 테이블이 서로 완전히 모델링이 일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측면 발생
불필요한 종류의 테이블 또는 컬럼의 생성, 최적화된 raw SQL 보다 느릴 수 있음.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딩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TIL] - DAY 5 (2) | 2024.04.19 |
---|---|
[클라우딩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TIL] - DAY 4 (0) | 2024.04.18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3 (0) | 2024.04.18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 (0) | 2024.04.15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0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