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ERT/CPM
- 4-way handshake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처리량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요구사항 분석
- 다단계 큐
- 다크모드
- 프록시패턴
- 함수형
- CPU 스케줄링
- redis
- M/M
- 선언형
- 인터넷계층
- 개발 모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럼바우
- 절차형
- MVVM
- 지연시간
- MongoDB
- 3-way handshake
- 프로젝트 계확
- 메모리
- 링크계층
- modebit
- 스레싱
- nosql
- 노출모듈패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토폴로지 (1)
노트

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가 좋은 네트워크 여기서 노드는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장치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 1. 처리량과 지연시간 처리량(Throughput):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bps(bits per second) 단위를 사용 보통 얼마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 나타냄. 처리량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영향을 받음. 사용자들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 트래픽(Traffic): 특정 시점에 링크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 대역폭(Ba..
CS
2024. 1. 15.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