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노출모듈패턴
- 요구사항 분석
- 지연시간
- MVVM
- 프록시패턴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인터넷계층
- M/M
- CPU 스케줄링
- 스레싱
- 프로젝트 계확
- redis
- 럼바우
- 3-way handshake
- 다크모드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함수형
- 다단계 큐
- modebit
- 처리량
- PERT/CPM
- 4-way handshake
- 메모리
- 링크계층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절차형
- nosql
- MongoDB
- 선언형
- 개발 모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캐시 (1)
노트

메모리 계층 메모리 계층은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성 레지스터 캐시(L1, L2 캐시) 메모리(RAM)/주기억장치 저장장치(HDD, SSD)/보조기억장치 레지스터: CPU 안에 있는 작은 메모리, 휘발성, 속도 가장 빠름, 기억 용량이 가장 적음. 캐시: L1, L2캐시를 지칭, 휘발성, 속도 빠름, 기억 용량이 적음. (L3 캐시도 있음) 주기억장치: RAM, 휘발성, 속도 보통, 기억 용량이 보통. 보조기억장치: HDD, SSD를 말함, 비휘발성, 속도 느림, 기억 용량 많음. 램은 하드디스크로부터 일정량의 데이터를 복사해서 임시 저장하고 이를 필요 시마다 CPU에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 계층 위로 올라갈수록 가격은 비싸지는데 용량은 작아지고 속도는 빨라짐. 이러한 계층이 있는 이유는 ..
CS
2024. 1. 21.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