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ongoDB
- 다크모드
- 3-way handshake
- 절차형
- 요구사항 분석
- 지연시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노출모듈패턴
- 다단계 큐
- MVVM
- 개발 모델
- PERT/CPM
- 프로젝트 계확
- CPU 스케줄링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modebit
- 스레싱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처리량
- 선언형
- 함수형
- 럼바우
- 메모리
- 링크계층
- 프록시패턴
- nosql
- 인터넷계층
- M/M
- redis
- 4-way handshak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브리지 (1)
노트

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음. 물리 계층, 링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 등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L7 스위치는 그 밑의 모든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 가능하지만 물리 계층의 AP는 해당 계층만 처리 가능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인터넷 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NIC, 리피터, AP 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L7 스위치 스위치는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 L7 스위치는 로드밸런서라고도 하며, 서버의 부하는 분..
CS
2024. 1. 18. 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