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3 본문

TIL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3

blackmilktea 2024. 5. 1. 19:30

김동영 강사님이 학습법에 대해 짧게 강의해 주셨다.

개발자의 학습법에 대한 미니세션

경험

여러 종류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얻는 것은 각각 학습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기억에 남는 정도도 다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을 망각하게 됨.

따라서 복습을 통해 자꾸 이끌어내야 학습한 지식이 기억에 오래 남음.

또한, 저장된 지식을 활용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필요할 때 적절히 응용할 수 있음.

인지

메타 인지: 인지에 관한 인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

인지 상태를 크게 4가지로 나누면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음.

지식 지각
1. 모르는 것을 모르는 상태
2. 모르는 것을  아는 상태
3. 아는 것을  아는 상태
4. 아는 것을 모르는 상태

 

나의 지식이 어떠한지 "아는 상태"에 먼저 도달하려고 해야 함.

측정

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이는 나에 대한 빠른 피드백으로 이어짐.

나의 지식 레벨을 측정하여 그에 알맞은 필요한 지식을 학습해서 쌓아가는 것이 좋음.

개발 측정 툴을 이용해 내가 주로 어떤 언어를 이용해 개발하고 몇 시간 동안 개발하는지 파악할 수 있음.

todo list 같은 목표를 세워서 목표 달성 정도를 보고 측정 가능.

학습 방법을 정하는 기준

그래서 어떻게 학습해야 좋은 것이냐.

강사님의 말씀을 요약하면

자신에 성향에 따라 학습 방법을 정하되, 단 한 가지 방법만 고수하지는 말라고 이해했다.

 

학습 방법에 따라 들어가는 시간도 다르고 같은 방법이라도 상황에 따라 스스로에게 와닿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

아무것도 모를 땐 강의를 들으며 기초를 쌓아가는 것도 좋고, 어느 정도 이해했을 땐 무언가 만들어보며 자잘한 부분은 부딪혀가며 배워가는 것도 좋음. 개발을 하다 보면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학습해서 개발해 내야 할 때도 있고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서 천천히 자세히 들여다봐야 할 때도 있음.

 

자신에게 기억이 잘 남고 잘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학습하려고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