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처리량
- 절차형
- MongoDB
- 메모리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MVVM
- 지연시간
- 럼바우
- 3-way handshake
- 링크계층
- 개발 모델
- 다크모드
- M/M
-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
- 함수형
- 4-way handshake
- 다단계 큐
- 인터넷계층
- modebit
- 요구사항 분석
- 스레싱
- redis
- nosql
- 프록시패턴
- PERT/CPM
- CPU 스케줄링
- 프로젝트 계확
- 선언형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노출모듈패턴
- Today
- Total
노트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3 본문
김동영 강사님이 학습법에 대해 짧게 강의해 주셨다.
개발자의 학습법에 대한 미니세션
경험
여러 종류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얻는 것은 각각 학습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기억에 남는 정도도 다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을 망각하게 됨.
따라서 복습을 통해 자꾸 이끌어내야 학습한 지식이 기억에 오래 남음.
또한, 저장된 지식을 활용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필요할 때 적절히 응용할 수 있음.
인지
메타 인지: 인지에 관한 인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
인지 상태를 크게 4가지로 나누면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음.
지식 | 지각 |
1. 모르는 것을 | 모르는 상태 |
2. 모르는 것을 | 아는 상태 |
3. 아는 것을 | 아는 상태 |
4. 아는 것을 | 모르는 상태 |
나의 지식이 어떠한지 "아는 상태"에 먼저 도달하려고 해야 함.
측정
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이는 나에 대한 빠른 피드백으로 이어짐.
나의 지식 레벨을 측정하여 그에 알맞은 필요한 지식을 학습해서 쌓아가는 것이 좋음.
개발 측정 툴을 이용해 내가 주로 어떤 언어를 이용해 개발하고 몇 시간 동안 개발하는지 파악할 수 있음.
todo list 같은 목표를 세워서 목표 달성 정도를 보고 측정 가능.
학습 방법을 정하는 기준
그래서 어떻게 학습해야 좋은 것이냐.
강사님의 말씀을 요약하면
자신에 성향에 따라 학습 방법을 정하되, 단 한 가지 방법만 고수하지는 말라고 이해했다.
학습 방법에 따라 들어가는 시간도 다르고 같은 방법이라도 상황에 따라 스스로에게 와닿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
아무것도 모를 땐 강의를 들으며 기초를 쌓아가는 것도 좋고, 어느 정도 이해했을 땐 무언가 만들어보며 자잘한 부분은 부딪혀가며 배워가는 것도 좋음. 개발을 하다 보면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학습해서 개발해 내야 할 때도 있고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서 천천히 자세히 들여다봐야 할 때도 있음.
자신에게 기억이 잘 남고 잘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학습하려고 노력하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5 (가계부 기능 추가) (0) | 2024.05.05 |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4 (0) | 2024.05.02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2 (0) | 2024.04.30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1 (0) | 2024.04.29 |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 DAY 10 (2)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