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정리
11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blackmilktea
2024. 4. 21. 03:43
1. 운영체제의 특징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소프트웨어
메모리 관리 기법
- 반입 기법: 메모리 적재 시기(When)
- 배치 기법: 메모리 적재 위치(Where)
- 할당 기법: 메모리 적재 방법(How)
- 교체 기법: 메모리 교체 대상(Who)
메모리 배치 기법
- 최초 적합(First-fit):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용 공간 중, 첫 번째 분할에 할당
- 최적 적합(Best-fit):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크기가 비슷한 공간을 선택해 프로세스 적재
- 최악 적합(Worst-fit): 프로세스의 가용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에 할당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LRU(Least Recently Used):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교체
- LFU(Least Frequently Used):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교체
- NUR(Not Used Recently):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교체
- SCR(Second Chance Replacement): 가장 오랫동안 주기억장치에 있는 페이지 중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 방지
- OPT(Optimal replacement):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 교체, 최적 교체
프로세스 스케줄링 유형
선점형 스케줄링(SMMR):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는 스케줄링
- SRT(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
- 라운드 로빈(Round Robbin):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 시간 할당
- 다단계 큐(Multi Level Queue): 여러 개의 큐를 이용해 상위 단계 작업이 선점
- 다단계 피드백 큐: 큐마다 서로 다른 CPU시간 할당량을 부여, FIFO +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기법
비선점형 스케줄링: 한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으면 작업 종료 전까지 다른 프로세스는 점유 불가
- FCFS(First Come First Service)/FIFO: 프로세스가 대기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CPU할당
- SJF(Shortest Job First): 프로세스가 도착하는 시점에 따라 그 당시 가장 짧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종료 시까지 자원 선점
- HRN(Hightest Response Ratio Next): 대기 중인 프로세스 중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
- 응답률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 Deadline: 작업이 명시된 기한 내에 완료되도록 계획
- 우선순위(Priority): 각 프로세스 별로 우선순위가 주어지고, 우선순위에 따라 CPU 할당
교착상태(Deadlock) 발생 조건
- 상호 배제: 한 번에 프로세스 하나만 해당 자원을 사용 가능할 때 사용 중인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려면 요청한 자원이 해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함.
- 점유와 대기: 자원을 최소한 하나 보유하고,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존재
- 비선점: 이미 할당된 자원을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
- 순환 대기: 대기 프로세스의 집합이 순환 형태로 자원을 대기
교착상태 해결 방법: 예방, 회피, 발견. 복구
가상화(Virtualization)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 제공
사설 클라우드
- 기업 또는 조직 내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 등을 사용해 내부에 구축되어 운영
- 자체 컴퓨팅 자원으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수용
- 직접적인 통제 가능, 보안성 증가
공용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컴퓨팅 자원 서비스를 제공
-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 확장성 유연성이 뛰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사설 클라우드와 공용 클라우드를 모두 사용
- 구축 비용 문제 해결, 보안성 확보 문제 해결, 이용 형태 변경 가능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 인프라형 서비스(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 같은 시스템 자원을 클라우드로 제공
- 플랫폼형(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제공
- 소프트웨어형(SaaS, Software as s Service):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 고객이 소프트웨어 서비스 형태로 이용
2.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OSI 7계층
응용 | 호스트 |
표현 | |
세션 | |
전송 | L4 스위치 |
네트워크 | 라우터 |
데이터링크 | 브리지, 스위치 |
물리 | 허브, 리피터 |
프로토콜(Protocol)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기기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
- 구문(Syntax): 시스템 간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 레벨 등의 규정
- 의미(Semantic): 제어 정보로 조정과 에러 처리
- 타이밍(Timing): 속도 조절과 순서 관리 구정
TCP/IP
응용 | TELNET, FTP, SMTP, DNS, HTTP |
전송 | TCP, UDP, RTCP |
인터넷 | IP, ICMP, IGMP, ARP, RARP |
네트워크 엑세스 | Ethernet |
- IP(Internet Protocol):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
- RARP(Reverse ARP):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 IGMP(Internet Gruop Management Protocol):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데 사용
패킷 교환 방식
- 가상 회선 방식: 단말기 상호 간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 연결을 확립한 후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방식, 모든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같음.
- 데이터그램 방식: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접한 노드들의 트래픽 상활을 감안해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운반하는 방식, 전송 경로가 다르고 도착한 패킷들을 수신 측에서 순서를 재정리.
IPv4: 8비트씩 4부분 32비트 주소체계
IPv6: 16비트씩 8부분 128비트 주소 체계
라우팅 프로토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Rou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기초
- OSFP(Open shortest Path First): 자신을 기준으로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단 경로를 찾음
외부(Exterio) 라우팅 프로토콜
AS 간 라우팅.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
- BGP(Border Gateway Protocol): AS 간 라우팅 경로 정보 교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한 개의 정식 IP 주소에 대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및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