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정리
6 화면 설계
blackmilktea
2024. 4. 18. 23:44
UX/UI
- UX(User Experience): 사용자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
- UI(User Interface):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
- CLI(Command Line Interface),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NUI(Natural User Interface):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기기 조작
UI의 기본 원칙
- 직관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
- 유효성: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
- 학습성: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힘
- 유연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
UI 설계 도구
- 와이어 프레임: 페이지에 대한 대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 요소 등에 대한 뼈대 설계
- 목업(Mockup): 와이어프레임보다 좀 더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든 정적 형태의 모형
- 스토리보드: 와이어프레임의 콘텐츠에 대한 설명, 페이지 간 이동 흐름 등을 추가한 문서
- 프로토타입: 와이어 프레임이나 스토리보드 등에 인터렉션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구현된 것처럼 테스트가 가능한 동적 형태의 모형
- 유스케이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능 단위로 표현한 것
ISO/ICE 9196의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 기능성(Functionality):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만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냄. 적합성, 정확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준수성
- 신뢰성(Reliability): 주어진 시간 동안 주어진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정도. 성숙성, 고장 허용성, 회복성
- 사용성(Usability):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에 발생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향후 다시 사용하고 싶은 정도를 나타냄. 이해성, 학습성, 운용성, 친밀성
- 효율성(Efficiency):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하는지를 나타냄. 시간, 자원 효율성
- 유지 보수성(Maintainablilty): 환경의 변화, 새로운 요구사항일 발생했을 때 소프트웨어를 개선, 확장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냄. 분석성, 변경성, 안정성, 시험성
- 이식성(Portablilty): 소프트웨어가 다른 환경에서도 얼마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냄. 적용성, 설치성, 대체성, 공존성